Tomcat과 같은 모든 WAS(Web Application Server : JSP, ASP, PHP 등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서버에서 무언가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보여주는 동적인 데이터처리를 하는 웹서버) 프로그램은 반드시 web.xml파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
특히 웹개발자들은 web.xml 코드를 손봐줘야 할일이 많습니다.
이번엔 이 web.xml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web.xml
web.xml은 클라이언트가 JavaServlet에 접근하려 할 때 WAS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가장 먼저 읽는 파일입니다.
그 정보란 배포할 servlet이 무엇인지, 해당 servlet이 어떤 url에 매핑되는지 등등의 정보를 담습니다.
즉 비유하자면 한 웹사이트의 전반적인 지도와 안내사항이 적혀있는 안내서와 같은 겁니다.
web.xml 에 필수로 정의되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<servlet> //서블릿 객체생성
<servlet-name> (객체의 이름) </servlet-name>
<servlet-class> (객체를 생성할 클래스) </servlet-class>
</servlet>
<servlet-mapping> //서블릿 내부명과 url과의 매핑정보
<servlet-name> (내부명) </servlet-name>
<url-pattern> (패턴) </url-pattern>
</servlet-mapping>
객체의 이름 : servlet 객체를 구분하는 이름
객체를 생성할 클래스 : 배포될 html 파일을 작성하는 클래스 파일의 정확한 파일명
내부명 : 임의의 이름
패턴 : 객체를 생성할 클래스를 매핑하는 임의의 이름, '/'로 시작되어야함
이 외에도 다양한 세부설정들이 있습니다.
session-config
<session-config>
<session-timeout> (세션시간) </session-timeout>
</session-config>
세션시간 : 세션이 지속될 시간
welcome-file-list
<welcome-file-list>
<welcome-file> (시작페이지) </welcome-file>
</welcome-file-list>
시작페이지 : 사이트의 root주소를 입력했을 때 접근하게 될 파일주소
error-page
<error-page>
<exception-type> (예외클래스) ex: java.lang.Throwable </exception-type>
<location> (예외페이지) </location>
</error-page>
<error-page>
<error-code> (에러상태코드) ex: 404 </error-code>
<location> (에러페이지) </location>
</error-page>
예외클래스 : 받아서 처리할 예외 타입
예외페이지 : 예외 발생시 접근하게될 파일주소
에러상태코드 : 처리할 에러상태코드
에러페이지 : 해당 상태코드를 받을 시 접근하게될 파일주소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분투에서 툴 도움없이 서버 구동하기(톰캣, 서블릿) (0) | 2022.09.28 |
---|---|
HTTPS 특징 (0) | 2022.09.28 |
HTTP 상태코드 표 (0) | 2022.09.28 |
쿠키와 세션 +캐시 (0) | 2022.09.28 |
OSI 7계층 (1) | 2022.09.28 |